대구 입주 아파트 시세(22년)/달성군

대구 달성군 23년 입주 아파트 시세 [9월]

서민갑부100억 2022. 9. 26. 07:00
반응형

 

 

부동산 지인에 집계된 달성군 23년 입주 물량은 총 2228세대이다.

대구에서 중구와 달성군만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있는 구이다.

 

달성군 중에서도 다사읍, 현풍읍, 구지면이 최근까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대구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일때 달성군은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달성군 내에서 다사읍, 화원읍만 규제)

 

<2023년 입주일 순> - 시세 확인일: 22.9.20. 국평(84㎡) 기준

 

◈ 다사역금호어울림센트럴 (945세대, 사용승인일 2023.3) 다사읍 [P -2000, 변동없음]

위의 매물은 84A 6층 매물로 분양가 4억5400만원, 발코니확장비 2190만원, P-2000만원으로 총 매매가 4억 5590만원이다.(옵션제외)

다사역 초역세권, 초품아 단지로, 다사역 주변 아파트 중에는 입지적으로 가장 좋아 보인다.

다만, 다사역 바로 인근에 힐스테이트다사역이 입주 중에 있는데,

현재 P -3000만원까지 나와있는 상태로 입주장 상황이 그다지 좋지 않다.

 

그리고 힐스테이트다사역이 다사역금호어울림에 비해 분양가도 3천만원 가량 저렴했기 때문에,

힐스테이트다사역의 매물이 마피로 남아있을 때까지는 거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설화명곡역우방아이유쉘 (320세대, 사용승인일 2023.4) 화원읍 [P -3000]

 

84A 24층 매물로 분양가 4억5800만원, 발코니확장비 1600만원, P -3000만원으로 총 매매가 44400만원이다.(옵션제외)

지하철역까지는 7분 거리로 도보 이용이 가능하다.

 

설화명곡역 주변의 주공 아파트와 거리가 꽤 되므로 주된 상권을 이용하기는 다소 거리가 있다.

 

초등학교를 화남이나 명곡초등학교로 가야 하나 초등학생이 도보로 이동하기는 어려운 거리이다.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 차량 이동이 필수이고 주변에 아파트단지가 없는 점도 상권발전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아쉽게 보인다.

 

◈ 태왕아너스더힐 (69세대, 사용승인일 2023.5) 유가읍 [미분양, 단독주택]

 

분양가는 최소 6억9000~ 최대 7억7700만원이다.

2층짜리 단독주택이 모여있는 단지이다.

위치나 가격 등이 실거주자 아니면 매수할 확률이 적어 보인다.

 

아직 미분양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이 들면 이런 곳에 살아보고 싶은 마음은 있으나 가격이 너무 비싸 보인다.

 

그리고 구조가 2층짜리인데 테라스가 있지만, 1,2층 다 합쳐서 방이 3개밖에 안되는 점이 많이 아쉽다.

 

34평짜리 아파트를 1,2층으로 분리해둔 느낌이라 구조에 비해 많이 비싸보인다.

 

◈ 테크노폴리스예미지 (894세대, 사용승인일 2023.11) 유가읍 [전매제한, 대형평형만 분양]

비투기, 비청약과열지구 공공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로 3년간 전매 제한 단지이다.

대구 테크노폴리스는 현풍과 유가읍의 경계에 조성되었고,

자체 생활권을 형성하여 많은 시민들이 거주 중이다.

 

일자리와 상업시설 등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데다,

테크노폴리스에 당분간 입주할 아파트가 없는 점도 장점이다.

 

테크노폴리스예미지는 현재 기준으로 인근의 준신축 아파트 대비 연식 고려시 분양가도 낮은편이다.

 

다만, 대구 중심지와 떨어져 있어 대구 중심권에 거주하고 싶은 수요자는 이곳에 관심이 없고,

 

테크노폴리스 수요자는 대구 중심권에는 관심이 없으므로,

테크노폴리스 내의 갈아타기 수요가 얼마나 나올지와 입주시 주변 준식축의 시세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지 궁금하다.

 

그나마 자녀가 있는 경우는 출퇴근이 가능하고 학군이 우수한 월배 지역을 선택하기도 하는데,

대구 중심지를 생활권으로 두기 위해서는 달서구 월배가 실거주 마지노선이다.

 

전매 제한이 걸려있어 인근 거주자가 청약한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갈아타기나 임차인 수요로 인해 주변 준신축 단지의 시세가 어떻게 변할지 궁금한 동네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