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레이크푸르지오는 수성구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이후 분양하여 청약 경쟁률을 10대1정도를 기록했다.
그러나 예비당첨자 비율이 현재와 같이 높지 않았기 때문에 청약 당첨자들의 포기가 많았다.
그래서 무순위 청약을 하였고 무순위를 거쳐 완판된 단지이다.

분양할 당시 분양가가 조금 비싸다라는 의견은 있었으나 분양 당시인 2019년 4월 이후 수성구는 계속 매매가가 상승하였으니,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분양가도 저렴해 보였다.
그러나 입주시점인 현재 분위기가 많이 침체되고 전세가도 낮아 일부 매물이 나오고 있다.


해당 단지를 살펴보면 분양가는 10층 이상의 경우 6억6500만원, 발코니 확장비 2400만원, 오븐65만원, 에어컨 640만원 모두 합치면 6억9605만원이다.
수성레이크푸르지오를 직접 가보지 못했는데 구조를 볼때 마치 가본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범어센트럴푸르지오 내부를 봤었는데 거기와 구조가 쌍둥이처럼 비슷하다.

현관 외에는 거의 똑같은 구조의 주상복합이라 실면적도 거의 똑같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성레이크푸르지오는 직접 보지 못했으나 범어센트럴푸르지오를 봤을 때 실거주 면적이 좁아 보였다.
아무래도 주상복합이고 발코니 확장되는 서비스 면적이 좁은 탓인 것 같다.
1~3층까지 상가도 범어센트럴푸르지오와 거의 비슷하게 지어져있었다.

그런데 대부분 공실이었고 공실이 길어질것같다.
사실 범어센트럴푸르지오의 경우도 공실기간이 조금 되었는데,
범어센트럴푸르지오는 범어네거리에 인접해있고 범어역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동선에 겹치기 때문에,
대로변의 상권은 아주 활성화 되어있다.
그런데 수성레이크푸르지오의 경우 입주민의 수요 외에는 굳이 상가를 이용하기 위해 찾아올 수요층이 적어보였다.
이미 sk리더스뷰와 대우트럼프월드수성의 상가가 활성화되어있고 황금역을 이용하는 동선이 겹치므로,
sk리더스뷰와 대우트럼프월드수성의 상가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었다.
수성레이크푸르지오의 배정 초등학교는 들안길초등학교로 도보 6분가량 걸린다.

다만, 인근의 중학교가 덕화, 황금중학교로 수성구 내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편이다.

그래서 공부를 어느 정도 하는 학생들은 황금 1동이나 범어 4동 쪽 학교로 보내고 있고 차량 운행도 많다.
아무래도 sk리더스뷰와 대우트럼프월드수성 입주민들의 자녀가 학교나 학원으로 이동하는 차량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sk리더스뷰와 대우트럼프월드수성 단지 내부를 보고 싶었으나 호텔처럼 1층엔 경비원들이 동마다 지키고 있고 내부로의 출입도 쉽지 않다.

바로 인근의 수성호반 때문에 진동과 소음이 심한가보다...

단지 내부는 못 보더라도 1층만 돌아다녀도 비싼 아파트라는 느낌을 쉽게 받을 수 있었다.

한편, 수성레이크푸르지오는 전매 제한 단지로 매도자가 등기 후 매매할 수 있으므로 취득세 및 등기비용 약 1천500만원, 약 2천만원 후이자를 자납해야하므로 매도자 입장에서는 약 7억3천만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현재 나와있는 호가는 7억8천만원으로 매도자 입장에서는 프리미엄을 약 5천만원 요구하는 상황이고,
매수자 입장에서는 분양가 대비 약 9천만원을 프리미엄으로 지불해야 한다.
인근 단지와 비교해 보면 바로 옆에 대우트럼프월드수성(2007년식)이 있다.

현재 대우트럼프월드수성의 제일 낮은 호가가 7억원이다.
* 신축과 구축 간 연식 차이로 매매가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
연식 차이가 15년가량 나는데 금액 차이가 1억 미만인 것을 고려해 보면 수성레이크푸르지오의 금액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그러나 대우트럼프월드수성은 최근 1년간 실거래가 없고, 7억 매물이 나온 지 꽤 되었기 때문에 호가가 더 낮아질 여지는 많다.
수성레이크푸르지오 바로 북측에는 24년 입주 예정인 호반써밋수성이 지어지고 있다.


84C타입 최고 분양가 7억8400만원, 발코니 확장비 3천만원으로 약 8억1천만원의 단지이다.

수성레이크푸르지오와 호반써밋수성의 연식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점을 고려했을 때 수성레이크푸르지오의 가격은 적당한 수준으로 보이나,
지금과 같은 시기에 7억 8천만원을 매매로 납부하고 입주할 사람이 적어 보이긴 하다.
이전에 힐스테이트황금엘포레의 경우도 8억5천만원에 오랜 기간 매물 등록되어 있다가 입주지정 기간이 지나가 7억원으로 낮아졌으나 아직 매도되지 않는 점을 고려해 보면,
입주지정 기간이 끝나갈 때까지 매매되지 않는다면 조금 더 호가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매수자는 급할필요 없어보이고 매도자는 호가를 낮추더라도 매수자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매도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 입주 아파트 시세(22년) > 수성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수성구 입주 아파트 마피 총모음(12월) (2) | 2022.12.22 |
---|---|
대구 수성구 급매 마피 아파트[10월] (2) | 2022.10.15 |
대구 수성구 마피 아파트 매물 등장(feat. 수성레이크푸르지오) (0) | 2022.10.03 |
대구 수성구 입주 아파트 매물 분석(feat. 수성뷰웰리버파크) (0) | 2022.09.18 |
수성구 중동 입주 아파트 분석(feat. 수성데시앙리버뷰)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