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구아파트 7

대구 아파트 최고가 대비 많이 하락한 22개 단지[11~22위]

지난 시간 살펴보았던 하락률이 큰 단지 22위~12위 까지는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1위 성당래미안이편한세상1단지(1036세대, 사용승인일 2009년 7월, 달서구 본리동) 84㎡A타입(32평형)이 2021년9월 최고가 5억8500만원에 실거래 되었으나, 1년 5개월 만인 2023년 2월에 3억4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하락금액은 2억81 00만원이고, 하락률은 48%를 보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3억2000만원으로 최근 실거래가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 10위 범어라온프라이빗2차(206세대, 사용승인일 2018년 10월, 수성구 범어동) 84타입이 2020년 11월 14억9500만원에 거래되었으나, 2년 3개월 만인 2023년 2월 7억7500만원에 ..

대구 깡통전세 아파트 TOP 10(ft. 집사면 2억 드립니다.)

오늘은 흔히들 깡통전세라고 부르는 단지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깡통전세란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더 높아, 만약 집이 경매에 넘어가더라도 전세가를 다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을 이야기 합니다. 상승장에서는 매매가 - 전세가 를 하면 남는 갭 금액으로 투자를 하는데, 대구에 일부 아파트 들은 오히려 집을 사면 돈을 돌려받아야되는 아파트들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10위는 대구 중구 대신동에 위치한 대신센트럴자이입니다. 세대수는 1147세대의 대단지이고, 2015년식 준신축 아파트입니다. 84타입(34평형)이 2021년 1월 5억3000만원 전세 계약되었으나, 현재 최저호가는 4억3000만원입니다.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는 -1억원입니다. 9위는 북구 칠성동에 위치한 오페라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입니다. 세대수는 578세대..

대구 달서구 23년 입주 아파트 시세[9월] -1

2022년 대구에서 현재까지 가장 조정을 많이 받는 중인 구는 달서구이다. 1월부터 9월 5일까지 대구 전체가 -2.9% 하락하는 동안 달서구는 그 2배인 -5.8% 하락했다. ​ 월배, 월성 지역과 더불어 죽전역 일대에 입주 영향으로 하락폭이 제일 컸다. 그런데 내년에는 입주물량이 2822세대로 올해에 비해 입주가 적은 편이다. ​ 더욱이 상인푸르지오센터파크는 재개발 단지인데 아직 분양을 하지 않아, 입주시기가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 ​ 상인푸르지오를 제외하면 내년 달서구 입주 예정 물량은 1832세대로 예상된다. ​ 해링턴플레이스감삼(432세대, 23.5.) 감삼동 달서코아루더리브(309세대, 23.5.) 본동 빌리브메트로뷰(234세대, 23.6.) 죽전동 빌리브파크뷰(166세대, 23.6.) 두류동..

대구 중구 23년 입주 아파트 시세[9월] - 1

2023년 중구 입주물량은 4964세대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입주가 예정되어 있다. ​ 부동산 지인에 따르면 현재 인구수의 0.5를 곱하여 수요량을 약 400세대 정도로 계산했다. ​ 그러나 중구는 상업지역이 발달되어 거주지가 적었던 탓으로 인구수가 적었을뿐, 다른 구의 인구가 유입되면서 인구수는 내년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 인베이드투자자문 이상우 대표도 대구 중구의 태평로 라인을 서울의 마용성과 비교하며 대규모 입주가 이루어지고 난 뒤를 좋게 보고 있었다. ​ 다만 올해부터 24년까지 매년 5천 세대 정도의 입주물량을 감당해낼 수 있을까가 가장 큰 문제다. ​ 이 시기만 잘 버티면 중구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어 있지 않을까 싶다. ​ 22년 입주 아파트의 마피를 살펴봤었는데 23년 입주 ..

지방 아파트 소액 투자 비법(by 건희아빠)을 읽고

건희아빠라는 분의 블로그 글을 종종 본다. ​ 지방 임장을 다니는 기록들과 실제 계약하는 과정을 상세히 기록해두어 재미있게 보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책을 출간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며칠 전 구매해 보았다. ​ 크게 인구 30~50만수준의 중견도시들 위주로 투자하는 분인데 그 내용이 자세히 책에 실려있었다. ​ 강원도, 전라북도, 충청북도 이렇게 세 군데로 나누어 미래가치가 있어 보이는 아파트들을 소개하고 있다. ​ 이 중에 강원도 원주시에 대한 내용 중 올 초에 볼 일이 있어 임장 가봤던 단지들이 나와서 반가웠다. 책에 적혀있는 힐데스하임5단지와 푸른숲휴브레스에 대한 설명 원주 임장가서 봤던 단지에 대한 나의 기억과 책의 내용을 비교해보고 들었던 생각을 적어보겠다. 원주시의 입주물량은 19년 최고치를 기..

대구 마피 아파트(동구) [9월]

8월 대비 대구 동구 마피였던 아파트의 시세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 확인일: 22.9.8. 국평(84㎡) 기준 ◈ 동대구역더샵센터시티(445세대, 사용승인2022.05), 대구 동구 신천동[P -4160 -> P -4160, 변동없음] * 마이너스 4160만원짜리가 제일 저렴한 매물이다. 실거래가 기준으로 7월 5억 후반이었으나, 8월엔 84C타입 기준 5억2700만원의 실거래 한건이 있다. 실거래는 분양가에 발코니확장비, 옵션비가 포함되어 신고되기 때문에, 8월 실거래 건은 프리미엄이 거의 없는 수준에서 거래가 되었다. ​​ 지난달 마피 4160만원짜리가 분양가 대비 하락폭이 제일 컸는데 아직 남아있다. 해당 매물은 84C타입이고 전체 매매가는 옵션 제외 약 5억원이다. 마피 2천~무피 매물이 10..

대구 미분양 1만 세대 기정사실(22년10월)

7월 대구 미분양 호수는 총 7523호 이다. 7월 미분양 물량에 추가된 단지로 수성포레스트스위첸(파동), 만촌자이르네(만촌동) 2개 단지가 있다. 각각 청약을 만촌자이르네는 1순위 5월9일에 했으며, 수성포레스트스위첸은 5월24일에 하였다. ​즉, 5월 중 청약한 단지들이 7월말 미분양 집계에 잡혔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6월에 청약을 한 단지들이 8월 미분양 물량에 새롭게 추가될 것이나, 6월에는 대구의 조정대상지역해제를 기대하고 분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범어자이, 시지삼정 모집공고는 6월이었으나 1순위가 7월이었기에 9월 미분양 통계에 잡힐 것으로 예상) ​ 결국, 7월 미분양 물량 7,523세대에서 일부세대가 판매될 것이고 선착순 접수를 계속 하고 있기 때문에 약 7,400세대 전후로 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