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구달성군입주물량 5

대구 23년 입주 아파트 마피 세시 현황 [달성군]

1. 힐스테이트 다사역 세대수는 674세대이고, 사용승인일은 2022년 5월이며, 소재지는 다사읍입니다. 프리미엄은 11월 -6000, 12월 -4000만원, 1월 -4450만원으로, 11월 대비 +1550만원 상승, 12월 대비 -450만원 하락 하였습니다. ​106동 10층 84B타입 남서향 판상형 매물로 분양가 4억3450만원, 확장비1380만원, P -4450만원으로, 총 매매가 4억380만원입니다.(중도금 무이자) 2. 화원 신일해피트리 꿈의숲 (553세대, 사용승인일 2022. 8., 화원읍) ​ 일반 분양가 기준 프리미엄은 11월 -1억2605만원, 12월 -1억3605만원, 1월 -1억1485만원으로, 11월 대비 +1120만원, 12월 대비 +2120만원 상승하였습니다. 102동 15층 ..

대구 달성군 마피 아파트 시세 [11월] (ft. 23년 입주 단지)

달성군의 하락폭도 커졌다. 현재는 대구 전체의 하락률보다 달성군의 하락률이 더 큰 상태이다. 그리고 대구 달성군에는 23년에 입주물량이 꽤나 기다리고 있고, 아직 입주가 많이 남았으나 마피 폭을 키우고 있는 매물들이 시장에 내던져 졌다. 지금 잔금을 치루지 못하는 원 청약자들의 고난이 계속되고있다. 대구 달성군의 23년 입주 아파트 단지는 총 4개 단지이다. 이 중 1개 단지는 전매제한이고, 1개 단지는 미분양 상태이며 매물이 없다. 그래서 매매 가능한 2개 단지의 시세는 2월 전 대비 -1500만원 하락하였다. - 시세 확인일: 22.11.24. 국평(84㎡) 기준 ◈ 다사역금호어울림센트럴 (945세대, 사용승인일 2023.3) 다사읍 [P -2000 → P-4000, 2월 전 대비 -2000만원] 8..

대구 마피 아파트(달성군) [9월]

- 확인일: 22.8.30. 국평(84㎡) 기준 ◈ 화원신일해피트리숲(553세대, 사용승인일2022.08), 대구 달성군 화원읍 [ P-5000 → P-6000, 전월대비 -1000] * 마이너스 6천만원짜리가 제일 저렴한 매물로 전월대비 프리미엄기준 1천만원 더 하락했다. 분양가:3억7570만원 - P 1천만원 + 전체 확장비1265만원 = 총 매매가 약 3억3천만원 입주가 시작되었으나 7월 한달간 거래건수가 0건이다.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매도자끼리 먼저팔기위해 조금씩 더 내리다보니 마이너스 6천까지 내려왔다. 마이너스매물이 10건 이상 보인다. ◈ 화원파크뷰우방아이유쉘(538세대, 사용승인일2022.09), 대구 달성군 화원읍 [ P-4000 → P-4000, 변동없음] * 마이너스 4천만원짜리..

대구 22년~23년 입주 마피 아파트(달성군) [8월] - 2

달성군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약간 많은 수준이다. 그러나 인근의 달서구 입주물량이 많아 타격을 받고있다. ​ 지난번 달성군 마피 현황을 살펴봤었는데 이전보다 하락폭이 조금 더 커져 다시 한번 마피 매물을 살펴보았다. ​ 최근 금리 급등으로 매수심리가 얼어붙었다. ​ 전국적인 현상으로 그나마 조정지역이 풀린 대구의 거래량은 다른 지역들에 비해서 많은 편이다. ​ 그러나 입주 러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대구에서는 신축 아파트의 타격이 더욱 크다. ​ 특히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단지들은 투자 목적 혹은 실입주 목적이 아닌 분들이 꽤 있다. ​ 그런 매물들이 올 하반기 DSR 규제 등으로 인해 대출은 안 나오고 실거주 목적은 아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당장 버틸만한 자금 여력이 안되는 분들은 하락폭이 얼마..

대구 마피 아파트(달성군) [8월] - 1

달성군은 대구 전체 면적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을정도로 면적이 아주 넓다. 95년에 여러행정구역이 대구로 편입되면서 면적이 아주 넓어진 것으로 알고있다. 달성군 중에서도 아파트단지도 많고 상대적으로 비싼지역은 아무래도 대구 중심부와 붙어있는 곳이다. 달서구와 인접한 지역인 다사읍과 화원읍이다. 20년12월 조정대상지역이 지정될 당시에도 달성군의 읍,면지역은 조정지역이 아니었으나 다사읍과 화원읍은 예외로 적용이 되어 최근에서야 조정대상지역이 해제되었다. 그러면 달성군의 마피현황을 살펴보겠다. 유가읍과 구지읍 쪽에는 테크노폴리스라는 명칭으로 신도시가 건설되었는데 아무래도 대구 중심부와 멀다보니 그쪽 나름의 생활이 이루어지고있다. 일자리가 없는 대구에 그나마 테크노폴리스에 여러기업들이 들어와있는 상태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