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 관련 이야기

전국 하락률 50%이상 20개 단지

서민갑부100억 2022. 12. 28. 08:00
반응형

 

200세대 미만의 소형 단지와 최근 거래가 가 1억 원 이하인 경우 개별성이 강하고,

일반 아파트와 다른 유형의 주택으로 보고

하락률이 50% 이상이라도 이번 영상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직거래된 실거래가는 제외하여 발췌하였으므로

소개되는 단지들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한편, 49%의 하락률이나 현재 호가가 최저가에 근접한 매물이 있는 단지의 경우

추후 50% 이상 하락 가능성이 크므로 포함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수도권에서부터 지방으로 인구수가 많은 도시 순이며,

해당 도시 내에서는 하락률이 큰 순서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전국의 50% 이상 하락한 단지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수도권 경기도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월드메르디앙 1단지 436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05년 11월이며, 52.1%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3평형) 2021년 9월 5억43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2억60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1년 2개월 만에 2억8300만원 하락하며, 52.1%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현재도 2억 후반대의 매물은 보이고 있습니다.

 

2위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숲속마을2단지 856세대로,

사용승인일은 1999년 8월이며, 49.4%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59B타입(23평형) 2021년9월 3억95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2월 2억원에 실거래 되었습니다.

1년 3개월 만에 1억9500만원이 하락하며, 49.4%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3위 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다정마을병점역신한에스빌1단지 469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05년 10월이며, 4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1평형) 2021년9월 5억5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2억80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1년 2개월 만에 2억7000만원이 하락하며, 4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49%의 하락률을 보인 단지들이 몇 개 있으나 호가와 실거래 간의 차이가 커서 소개하지 않으나

이 단지의 경우 최근 2억8000만원의 실거래가 되었는데,

2억8000만원의 매물이 나와있는 점을 고려하여,

곧 반토막 된 실거래가 이루어질 것 같아 안내해 드립니다.

 

이상 50% 이상 하락한 경기도 3개 단지였습니다.


두 번째로 인천광역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인천 서구 가정동 루원시티프라디움 1598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8년 3월이며, 49.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A타입(34평형) 2021년 8월 8억9900만원에서

2022년 11월 4억5천만원으로 49.9% 하락하였습니다.

 

이상 인천 1개 단지 소개해 드렸습니다.


세 번째로 부산광역시 하락률 50% 이상인 단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부산 기장군 철마면 고촌센트럴 474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4년 1월이며, 55.3%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4평형) 2021년 5월 5억6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5월 2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3억1000만원이 하락하였습니다.

 

1년 만에 하락률 55.3%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이외에 실제로 거래되는 금액 대는 3억 중반인 점을 미뤄보아

직거래는 아니지만 공매 등의 특수 거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최저가 매물은 3억7000만원입니다.

 

2위 부산 강서구 명지동 명지대방노블랜드오션뷰1차 737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5년 12월이며, 54.2%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A타입(34평형) 2021년 9월 10억5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9월 4억8000만원에 실거래되어

1년 만에 5억3500만원이 하락하며, 하락률 54.2%를 보였습니다.

 

현재 매물이 4억5000만원에도 나와있는 상태라 하락폭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3위 부산 강서구 명지동 명지국제신도시호반베르디움2차 694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7년 1월이며 49.4%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4평형) 2021년 1월 8억5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3억5000만원에 직거래된 2개의 실거래는 제외하고,

2022년11월 4억30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1년10개월만에 4억2000만원이 하락하였고, 49% 이상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매물은 4억5000만원에 나와있고 명지동의 시세 하락세가 뚜렷하여,

더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상 부산 50% 이상 하락한 3개 단지 소개해 드렸습니다.


네 번째로 대구광역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만촌삼정그린코아에듀파크 774세대,

사용승인일 2019년 11월, 소재지는 수성구 만촌동입니다.

해당 단지의 30평형이 2020년 10월 최고가 13억9천만원이었으나,

2022년 11월 6억4700만원에 실거래 되었습니다.

2년 만에 7억4300만원이 하락하였고,

하락률은 53.4%로 최고 하락률을 기록하였습니다.

 

2위 월성래미안 774세대, 760세대

사용승인일 2006년 5월, 소재지는 달서구 월성동입니다.

해당 단지의 34평형이 2021년 2월 최고가 5억9000만원이었으나,

2022년 12월 2억9000만원에 실거래 되었습니다.

1년 10개월만에 3억원이 하락하였고,

하락률은 50.8%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상 대구 50% 이상 하락한 2개 단지 안내해 드렸습니다.


다섯 번째로 대전광역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대전 유성구 송강동 청솔(신호) 1446세대로,

사용승인일은 1995년 8월이며, 55.3%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59타입(24평형) 2021년 8월 2억35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1억500만원에 실거래되며,

1년 3개월만에 1억3000만원이 하락하고,

하락률은 55.3%를 보였습니다.

 

2위 대전 서구 도안동 도안베르디움 957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4년 3월이며, 48.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하락률이 48.9%이지만 소개 드리는 이유는

같은 평형 다른 타입은 이미 84B타입(34평형)은 4억6000만원에 실거래되어

사실상 반 토막 난 단지로 봐야 해서입니다.

 

84D타입(34평형) 2021년 8월 9억4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2022년 12월 4억8000만원에 실거래되며,

1년 4개월 만에 4억 6000만원이 하락하고,

하락률은 48.9%를 보였습니다.

 

다만, 84B타입의 최저가와 84D타입 최고가를 비교하면

51%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이상 대전광역시 50% 이상 하락률을 보인 2개 단지였습니다.


여섯 번째로 세종특별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세종시 종촌동 가재8단지세경 254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5년 10월이며, 53%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3평형) 2021년 2월 6억6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3억1000만원에 거래되며 3억5000만원이 하락하였습니다.

1년10개월 만에 하락률 53%를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최저가 매물은 4억1000만원입니다.

 

2위 세종시 고운동 가락7단지 프라디움 572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5년 12월이며, 52.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A타입(33평형) 2020년 12월 8억5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2월 4억원에 거래되며, 4억5000만원이 하락하였습니다.

2년 만에 52.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3위 세종시 보람동 호려울3단지신동아파밀리에 713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9년 2월이며, 49.4%가량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4평형) 2021년 5월 11억55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2월 5억8500만원에 거래되며, 5억7000만원이 하락하였습니다.

 

1년 7개월 만에 49.4%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며칠 전에 실거래 된 것이 5억8500만원이므로,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있어 보여 소개 드립니다.

 

4위 세종시 새롬동 새뜸10단지더샵힐스테이트 1027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7년 4월이며, 56%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59A타입(26평형) 2020년 12월 8억2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3억6000만원의 실거래를 보이며, 56%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약 2년 만에 4억6000만원이 하락하였으나,

이후 실거래가 4억 중반~ 5억원대에 거래되고 있고,

매물의 호가로 4억후반~ 5억원대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3억원대의 실거래는 증여 등의 특수 거래로 유추해 볼 수 있겠습니다.

 

5위 세종시 고운동 가락6단지 프라디움 887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5년 12월이며, 51.5%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59A타입(25평형) 2021년 1월 6억40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3억1000만원의 실거래를 보이며, 51.5% 하락하였습니다.

1년 10개월만에 3억3000만원이 떨어졌습니다.

참고로 2억원 대의 직거래 매물이 많은데 이 매물들은 제외하였습니다.

6위 세종시 보람동 호려울1단지대방노블랜드 1002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7년 10월이며, 51.4%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59B타입(25평형) 2020년 11월 8억45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1월 4억1000만원의 실거래를 보이며, 51.4%의 하락률을 기록하였습니다.

2년 만에 4억3500만원이 하락하였고,

현재 4억 중반대의 매물이 보이는 점을 보아 정상거래로 보입니다.

 

7위 세종시 새롬동 새뜸2단지메이저시티리슈빌 696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17년 4월이며, 49.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59B타입(25평형) 2021년 2월 6억79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2월 3억4000만원의 실거래되었고,

1년 10개월 만에 3억3900만원이 하락했고, 49.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이상 세종시의 50%이상 하락한 7개 단지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세종시가 반 토막 난 단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최근 분위기가 정말 많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곱 번째로 충청남도의 50% 이상 하락한 단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계룡이편한세상 918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07년 12월이며, 49.2%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타입(32평형) 2021년 10월 4억14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12월 2억1000만원의 실거래를 보였습니다.

 

1년2개월만에 2억400만원이 하락하였고 49.2%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2억2000만원의 매물이 있는 점을 비추어보아 추가 조정이 가능해 보입니다.

이상 1개 단지였습니다. 충청남도는 하락보다 최근에 상승하는 아파트들도 많이 보였습니다.

계룡시의 경우 대전, 세종시와 인접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대전, 세종과 먼 지역일수록 아직 시세가 별로 하락하지 않은 모습이었습니다.

오히려 상승한 단지들도 있었습니다.


여덟 번째로 경상남도의 50% 이상 하락한 단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위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힐스테이트아티움시티 1132세대로,

사용승인일은 2020년 5월이며, 53.5%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84B타입(34평형) 2021년 11월 9억8500만원의 최고가를 기록한 후

2022년 8월 4억8000만원의 실거래를 보이며 48.1%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84A타입(34평형)이 2022년 12월 4억5800만원에 실거래되어

이 둘 간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약 1년만에 5억2700만원이 폭락하여,

53.5%의 하락률을 보였으므로 실질적인 반토막 이상 하락한 단지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이상 경상남도 50% 이상 하락한 1개 단지였습니다.

 

경기도 2개, 인천 1개, 부산 3개, 대구 2개, 대전 2개, 세종 7개, 충남 1개, 경남 1개로

50% 이상 혹은 50%에 근접한 하락률을 보인 총 20개 단지 모두 소개해 드렸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