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만촌자이르네(607세대, 입주 2023년 1월, 수성구 만촌동)


만촌자이르네는 대구 수성구에서도 범어4동과 만촌3동이 가장 핵심지역인데
그곳에 입주하는 신축아파트로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후분양으로 분양가를 높게 받으려다가 대규모 미분양이 났고
결국 준공 시점이 되어서 2억원이 넘는 할인분양에 들어갔습니다.
오히려 저층이 9억원 이하로 특례보금자리론을 활용할 수 있어
9억원 이하 매물들이 먼저 소진되는 특이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결국 23년 하반기에 완판 소식을 알렸고 현재는
할인분양가 대비 약 5000만원 프리미엄이 붙은 상태의 매물이 나와있습니다.
2. 해링턴플레이스만촌(152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1월, 만촌동)


[최저 호가 매물 시세 1월 10억원, 2월 매물없음, 3월 10억5000만원]

101동 84B타입 저층 남향 매물이 10억5000만원에 나와있습니다.

22년 12월과 23년 1월 7억3000만원대에 거래된 이후 실거래는 없습니다.
전세가는 4억5000만원 수준이지만 대구 전체의 전세가가 낮은 상황이라
전세의 거래 가능성도 희박해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3. 수성뷰웰리버파크(266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3월, 중동)


[프리미엄 1월 -9702만원, 2월 -9702만원, 3월 -9702만원]
* 시세는 1월과 2월 대비 변동없습니다.

101동 20층 매물이 분양가 6억4680만원, 발코니확장비 2860만원,
프리미엄 -9702만원으로, 총 매매가는 5억7838만원입니다.
중도금 후불제였는데 입주 지정기간이 꽤 지났으므로,
등기 여부 및 중도금 이자와 연체금이 세대마다 다를 수 있으나
일부 미분양 단지이므로 회사 보유분일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4. 더샵수성라크에르(899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5월, 지산동)


[프리미엄 계속 무피 수준에 매물이 나와있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6억1000만원에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일반 분양의 경우 84타입은 6층과 7층만 진행하였으므로 조합원 매물이며
일반 분양가와 비교해보면 분양가 5억6670만원, 발코니확장비 2850만원으로,
원분양가는 5억9520만원이었습니다.
여기에 중도금은 40%후불제였으므로 중도금 이자까지 더하면 약 6억1000만원 수준이므로
무피 수준의 매물로 볼 수 있으며 조합원 매물이므로 실제 추가분담금까지 확인해봐야겠습니다.
5. 쌍용더플래티넘범어(207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7월, 범어동)


[최저호가 매물 10억5000만원]

분양가 대비 약 2억원의 프리미엄이 형성된 매물입니다.

바로 남측에는 범어센트럴푸르지오가 범어동 리딩 단지가 있는데
현재 최저 호가는 8억6000만원이며,

현재 입주 중인 범어더블유의 경우 11억5000만원의 최저 호가를 형성 중입니다.

23년 상반기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하여 마피로 거래된 매물도 일부 있었으나
7억원 초반 수준이던 분양가에 거래되다가 입주 지정기간이 끝나자
8억원대 실거래 내역도 나온 상황입니다.
바로 남측에 위치한 범어센트럴푸르지오의 가격 상승이
쌍용더플래티넘 범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23년 1월과 2월에 7억원대의 실거래도 나왔으나
24년 1월에는 9억원대의 거래가 나오고 있으므로
23년에 비해 분위기는 좋아진 상태입니다.
6. 수성센트럴화성파크드림(156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8월, 중동)


[프리미엄 1월 -8000만원, 2월 -8000만원, 3월 -7000만원]
* 시세는 1월과 2월 대비 1000만원 상승하였습니다.

101동 29층 84A타입 남향 매물로
분양가 6억1700원, 발코니확장비 3000만원,
프리미엄 -7000만원이며, 총 매매가는 5억7700만원입니다.
중도금 후불제로 분양권 상태로 거래시 중도금 이자 추가 납부해야 합니다.
마피 1억원 매물이 잠깐 나왔으나 거래되면서 시세가 상승한 모습입니다.
7. 수성더팰리스푸르지오더샵(1299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10월, 파동)


[프리미엄 1월 -4000만원, 2월 -5000만원]
* 시세는 12월 대비 4000만원, 1월 대비 1000만원 하락하였습니다.

일반 분양 매물이 많았던 59타입은 마피 3000만원,
75타입의 경우 마피 4000만원까지 나와있습니다.
입주 지정기간이 지나가면서 시세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한편 84타입의 경우 마피 3000만원에 나와있습니다.
206동 2층 남향 84B타입 타워형 매물로
분양가 5억1190만원, 발코니확장비 3000만원,
프리미엄 -3000만원으로, 총 매매가는 5억1190만원입니다.
중도금 후불제인 단지이지만 대부분의 매물이 매도자가 중도금 이자를 납부한다고 적혀있습니다.

59타입의 실거래가 1건만 등록된 상태로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입주 지정기간은 지나고 마피 매물도 다수이므로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8. 더샵수성오클레어(303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10월, 수성동)


[프리미엄 1월 -1억5000만원, 2월 -1억5000만원, 3월 -1억5000만원]
* 시세는 1월과 2월 대비 변동없습니다.

104동 10층 남동향 84B타입 매물이
분양가 8억1200만원, 발코니확장비 3000만원,
프리미엄 -1억5000만원으로, 총 매매가 6억9200만원입니다.
그러나 중도금 후불제인 단지로 분양권 상태로 거래시 중도금 이자 추가 부담이 있습니다.
9. 수성범어더블유(1340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12월, 범어동)


[프리미엄 5억원 수준으로 지난 달 대비 시세는 5000만원 가량 하락]

현재 11억5000만원의 최저 호가 매물이 나와있습니다.
조합원 매물이 다수이므로 자격 충족여부도 판단해봐야겠습니다.
분양가는 7억원 초중반이었으나 상당히 높은 수준의 프리미엄이 형성되어있습니다.
조합원 매물이 다수있어 실거래 내역은 7억원대부터 10억원대까지 천차만별입니다.

추가분담금이 어떤지에 따라 실제 매수자가 납부해야할 금액이 달라집니다.
12억9000만원의 실거래가 나왔으나 계약이 취소되면서
가격 띄우기가 아니었냐는 여론도 상당하였습니다.
그러나 좋은 입지의 아파트임에는 틀림이 없겠으나
현재 호가를 시장에서 받아줄지는 의문입니다.
10. 수성해모로하이엔(759세대, 사용승인일 2023년 12월, 수성구 파동)


용두지구 재개발 단지로 2021년 4월에 576세대 일반분양을 진행하였습니다.
청약성적은 1순위 531세대 모집에 977명이 접수하여 평균 청약경쟁률 1.84대1을 기록하였습니다.
청약 당시만하더라도 수성구가 투기과열지구였으므로 무주택 세대수만 청약이 가능했던 점을 고려하면
파동에 위치한 단지이지만 생각보다 경쟁률이 잘나온 편이라 생각합니다.

부적격 당첨자도 있었던 탓에 수차례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여 84타입 매물은 모두 소진시켰습니다.
그러나 현재도 59타입은 미분양 매물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입지적으로는 수성구 파동에서도 최남단에 위치하여 달성군 가창면과 경계하고 있습니다.
실제 배정받는 초등학교도 달성군 가창면의 용계초등학교로 배정받습니다.
행정구역상 수성구이지만 입지적으로는 대구 중심부와 많이 떨어져있어 아쉬운 측면이 많은 단지입니다.
입지적 아쉬움 뿐만 아니라 현재 분양가보다도 많이 떨어진 시세를 형성 중입니다.
[프리미엄 1월 -8000만원, 2월 -7000만원, 3월 -8000만원]
* 시세는 1월 대비 변동없고, 2월 대비 1000만원 하락하였습니다.

일반분양이 많았던 59타입과 75타입의 시세를 살펴보면
59타입은 마피 5000만원 수준으로 지난 달 대비 1500만원 하락하였고,

75타입의 경우 마피 7000만원까지 나왔습니다.

또한 일반 분양 물량이 적었던 84타입은 일반분양 물량이 마피 8000만원까지 나온 상태입니다.

111동 2층 84타입 남향 매물이
분양가 5억1150만원, 발코니확장비 3000만원,
프리미엄 -8000만원으로, 총 매매가는 4억6150만원입니다.
사전점검 당시 하자 문제로 이야기가 많았으나
현재는 2차 사전점검을 통하여 하자는 어느정도 마무리 된 상태입니다.
수성구 23년 입주 아파트 11곳의 2월 대비 평균 시세는 500만원 가량 하락하였습니다.
수성구 내에서도 범어동과 만촌동은 비교적 좋은 흐름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현재 입주가 집중되고 있는 파동은 시세 하락이 상당한 모습입니다.
수성구 내에서도 입지적으로 다소 아쉬움이 있는 곳인 만큼
미분양 단지들도 주변에 있는 상태로
시세가 눈에띄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입주를 마무리하고 매물이 잠긴 단지도 있듯이
수성구 핵심지역의 시세는 23년 상반기 하락하고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점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