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아파트 저평가 지역 찾기

대구 아파트 최고가 대비 많이 하락한 22개 단지[11~22위]

서민갑부100억 2023. 3. 22. 07:37
반응형

오늘은 대구 아파트 중 84타입 최고가 대비 하락률이 큰 22개 단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어제까지 하락금액이 큰 아파트를 살펴보았는데,

아무래도 최고가가 높았던 수성구의 아파트들이 같은 하락률을 보여도

더 많이 하락하는 것으로 보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20개 단지 중 19개가 수성구였습니다.

그렇다면 하락률로 살펴본다면

다른 구에서 많이 하락한 단지들도 함께 볼 수 있을 것 같아

하락률이 높은 단지 22개를 골라 살펴보았습니다.

하락률 순위에 연식이 30년 이상 된 아파트는

재개발, 재건축 이슈로 일단 아파트와는 다르다고 보고 순위에서는 제외하였습니다.

또한 직거래나 특수거래로 보여 하락률이 커보이는 단지들도 제외하여

순위의 신뢰성을 높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럼 대구 아파트 최고가 대비 하락률이 큰 22개 단지 지금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2위 대신센트럴자이(1147세대, 사용승인일 2015년 4월, 중구 대신동)

84B타입이 2020년 12월 7억6000만원에 최고가 거래되었으나,

2년 1개월 만인 2023년 1월 4억17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3억4300만원이 하락하고 하락률은 45.1%를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4억5000만원 수준으로,

최근 거래가 많이 되면서 낮은 호가의 매물들은 어느정도 정리된 상태입니다.

3억 후반대가 거의 바닥으로 여겨지며,

상당한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시세가 꽤 상승하였습니다.

21위 오페라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578세대, 사용승인일 2017년 10월, 북구 칠성동)

84타입이 2020년 12월 8억8000만원에 최고가 거래되었으나,

2년 만인 2022년 12월 4억80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4억원이 하락하고 하락률은 45.4%를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5억5000만원 수준으로,

최근 실거래된 4억8000만원보다 7000만원 높은 수준의 호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4억 후반대에서 바닥을 형성하는 것처럼 보이며

23년에만 10건 가량 거래가 되었습니다.

그로인해 시세는 상당수준 상승하였습니다.

북구에서 좋은 입지로 북구 내에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 중 하나인데

시세가 많이 하락하면서 실수요자들의 진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위 이편한세상범어(842세대, 사용승인일 2015년 9월, 수성구 범어동)

84A타입(33평형)이 2021년 3월에 10억3000만원 최고 거래되었으나,

1년 10개월만인 2023년 1월 5억6000만원에 실거래되면서,

4억7000만원이 하락하고 하락률은 45.6%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1층 매물만 5억8000만원이고 나머지 매물들은 6억원을 넘겼습니다.

1층 제외 최저 호가 매물은 6억3000만원으로

이전의 실거래가 보다 7000만원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성구 진입을 노리는 분들이 가장 먼저 보는 단지인데

2023년에만 수성구 최고 거래량을 보이며,

5억 후반에 바닥을 다지면서 시세가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공동 18위 범어라온프라이빗(175세대, 사용승인일2016년 11월, 수성구 범어동)

84타입(34평형)이 2021년 4월 12억5000만원에 실거래 되었으나,

2022년 12월 6억8000만원에 실거래 되었습니다.

1년 8개월만에 5억7000만원이 하락하였고, 45.6%의 하락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호가는 7억5000만원으로 이전의 실거래보다는 높은 수준의 매물이 있습니다.

공동 18위 대구역센트럴자이(1005세대, 사용승인일 2017년 10월, 중구 수창동)

84B타입 (34평형)이 2021년 3월 최고가 7억4300만원이었으나,

2022년 12월 3억9500만원에 최고 거래 되었습니다.

1년 9개월만에 3억4800만원이 하락하였고, 46.8%의 하락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구조가 판상형인 84A타입은 3억8000만원에 실거래되어

실질적인 하락률은 49%에 이르며,

현재 매물은 3억9500만원, 4억1000원에 나와있습니다.

17위 캐슬골드파크1단지(1059세대, 사용승인일 2006년 7월, 수성구 황금동)

2020년 12월 최고가 8억4800만원에 거래 되었고,

2023년 1월 4억50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2년 1개월만에 3억9800만원이 하락하였고, 46.9%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4억8000만원으로 최근 실거래가인 4억 5000만원보다

3000만원 높은 수준의 호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16위 성당래미안이편한세상2단지(1608세대, 사용승인일 2009년 7월, 달서구 본리동)

84C타입이 2021년 7월 최고가 5억5300만원에 거래되었고,

2023년 3월 2억9000만원에 실거래되었습니다.

1년 8개월 만에 2억6300만원이 하락하였고, 47.5%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A타입 매물은 3억1200만원이고, C타입은 3억3500만원으로,

최근 낮은 실거래가보다 2000만원에서 4000만원 높은 수준의 호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동 13위 에코폴리스동화아이위시3차(1553세대, 사용승인일 2017년 7월 ,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81(32평형)이 2021년 9월 최고가 4억 2100만원에 거래되었으나,

1년 4개월만인 2023년 1월 2억80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2억4100만원이 하락하였고 하락률은 47.6%를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의 매물은 2억9700만원으로 최근의 실거래가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동 13위 월성월드메르디앙(865세대, 사용승인일 2009년 6월, 달서구 월성동)

2020년 12월 6억6900만원의 최고가 거래되었으나,

2년 1개월만인 2023년 1월 3억50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3억1900만원이 하락하였고, 하락률은 47.6%를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4억5000만원으로

최근 실거래보다 1억원 가량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성동 거래가 많이 나오면서 시세가 많이 상승하였으며,

4억원 초반대의 거래도 많았습니다.

공동 13위 대곡강산타운(1480세대, 사용승인일 1997년 12월, 달서구 도원동)

84㎡(32평형) 2021년 7월 최고가 4억500만원에 실거래 되었으나,

2023년 1월 2억1200만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1년 6개월 만에 1억9300만원 하락하였고, 47.6%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2억7500만원으로,

최근 실거래된 가격보다 6300만원 높은 수준입니다.

12위 월배아이파크2차(2134세대, 사용승인일 2016년 6월, 달서구 유천동)

84㎡A타입(33평형)이 2021년 1월 최고가 7억2500만원에 실거래 되었으나,

2년 만인 2023년 1월 3억79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하락금액은 3억4600만원이고, 하락률은 47.7%를 보였습니다.

현재 최저 호가 매물은 4억1500만원으로,

최근 실거래된 가격보다 3600만원 높은 수준입니다.

3억 후반에서 4억 초반의 거래가 최근 3개월간

10건이 넘어 하방을 다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구 하락률 큰 아파트 나머지 11위~1위는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