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입주물량을 정리하다 보니 5월과 8월을 제외하고 매월 입주하는 단지가 있을 정도로 물량이 많다.

직접 조사해 본 결과 2023년 동구의 입주물량은 총 8561세대이다.
부동산지인의 동구 입주물량은 총 8814세대인데,
오피스텔 등이 포함되면서 조금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대구 동구에 미분양 단지가 조금 있어 대구 시청의 7월 미분양 현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2023년 대구 동구에는 입주 예정 단지가 총 11개인데,
많은 관계로 상하반기 나누어서 현재 상황을 살펴보겠다.
<2023년 대구 동구 입주 예정 물량>
- 안심뉴타운호반써밋이스텔라(315세대, 23.1.) 율암동 [전매 제한]
- 동대구해모로스퀘어이스트(935세대, 23.2.) 신암동
- 동대구2차비스타동원(627세대, 23.3.) 효목동 (미분양)
- 안심파라곤프레스티지(759세대, 23.3.) 율암동 [전매 제한](120세대 미분양)
- 동대구해모로스퀘어웨스트(1122세대, 23.4.) 신천동
- 동대구역화성파크드림(1079세대, 23.6.) 신암동
- 해링턴플레이스동대구(1265세대, 23.7.) 신암동
- 동대구더센트로데시앙(860세대, 23.9.) 신암동 [전매 제한]
- 용계역푸르지오아츠베르1,2단지(1313세대, 23.10.) 용계동 [전매 제한] (240세대 미분양)
- 신기역극동스타클래스(142세대, 23.11.) 신기동 [전매 제한] (미분양)
- 동대구동화아이위시(144세대, 23.12.) 신천동
<2023년 입주일 순> - 시세 확인일: 22. 9. 26. 국평(84㎡) 기준
◈ 안심뉴타운호반써밋이스텔라(315세대, 23.1.) 율암동 [전매 제한]



84A타입 분양가는 최저 4억3780만원~ 4억8640만원, 발코니확장비 552만원이다.(중도금무이자)
3베이 이지만 알파룸 있어 방이 4칸인 구조는 좋아 보인다.
한편, 바로 서쪽에 인접한 안심뉴타운시티프라움이 22년 8월부터 입주를 시작하였다.
현재 마피가 4천만원인 상황인데 총 매매가는 3억 중반에 매수할 수 있다.
그러나 실거래로 신고되는 건이 없으며 마이너스로 나와있는 매물이 많다.
안심뉴타운호반써밋이스텔라와의 분양가 차이는 거의 1억원이므로,
실입주자가 아니고 임대를 놓거나 매매를 생각하는 분양권자는 다소 어려움이 예상된다.
◈ 동대구해모로스퀘어이스트(935세대, 23.2.) 신암동 [P -4000]

84A타입은 2020년 12월 약 6억원 수준까지 실거래가 되었다.
그런데 최근 분위기 악화로 4층짜리 매물이 마피 4000만원까지 나온 상황이다.


분양가 4억7800만원, 발코니확장비 2000만원, P-4000만원으로
총 매매가 4억5800만원이다.(중도금무이자)
◈ 동대구2차비스타동원(627세대, 23.3.) 효목동 (미분양) [P 0]

조합원 매물이 대부분이고 일반분양 매물은 무피 매물이 몇 개 보이고 아직 마피는 안 보인다.
대구시청 자료에 따르면 7월까지 미분양 물량이 일부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84타입이 인기가 많으므로 모두 소진되었을 수는 있음)


분양가는 최저 4억8400만원 ~ 최고 4억9140만원, 발코니확장비 1590만원으로,
총 매매가는 4억9990만원 ~ 5억730만원이다.(중도금 무이자)
◈ 안심파라곤프레스티지(759세대, 23.3.) 율암동 [전매 제한](120세대 미분양)


단지 전체적으로 동간 간격이 넓고 내부 구조도 광폭 거실로 실거주면적이 넓어 좋아 보인다.
다만, 안심뉴타운에 아파트 분양이 많았으나 안심뉴타운에 대한 인식이 아직은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케아가 들어오고 상권이 활성화된다면 대구 시민들의 인식이 달라져 새로운 수요가 생길 수도 있겠다.
그러나 현재 입주 중인 안심시티프라움이 P-4000만원까지 나오는 등 분위기가 좋지 않고,
안심시티프라움과 비교시 매매가는 1억3천만원 가량 차이 나므로 힘겨운 입주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84A타입의 분양가는 최저 4억6200만원 ~ 최고 4억8980만원, 발코니확장비 710만원이다.
안심뉴타운에 분양한 단지 중 가장 높은 분양가와 중도금 이자후불제도 단점으로 보인다.
◈ 동대구해모로스퀘어웨스트(1122세대, 23.4.) 신천동 [P-2000]

신암뉴타운 재개발이 대규모로 이루어지면서, 일대의 변화가 기대되는 곳이다.
다만, 입주 기간이 많이 몰려있고 침체된 부동산 분위기 탓에 내년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고 실거래가는 약 6억 1천만원(21.6.)이었으며, 현재 마피 2천만원까지 나온 상태이다.


위의 매물은 분양가 5억360만원, 발코니확장비 2000만원, P-2000만원으로
총 매매가 5억360만원이다. (중도금무이자)
◈ 동대구역화성파크드림(1079세대, 23.6.) 신암동 [P 1000]
실거래도 많이 이루어졌으며, 동대구역 도보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대단지이다.
현재 84C타입 타워형 저층 P 1000만원이다.
최고 실거래 21년 상반기 84A, B, C 타입 모두
약 7억 5천만원수준에서 거래될 정도로 인기가 많은 단지였다.


분양가 5억 4240만원, 발코니확장비 2100만원, P1000만원으로
총 매매가 5억 7340만원이다. (중도금무이자)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분양권 프리미엄의 하락이 매우 큰 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실수요자들은 저렴하고 괜찮은 입지의 매물을 잡기 좋다고 본다.
동구 쪽 매수를 희망하는 실수요자라면,
내년에 동구에 입주하는 아파트 단지 중 가장 좋은 단지로 보인다.
22년에는 신천센트럴자이가 입지 대비 저렴하고 좋은 단지였다면,
23년에는 동대구역화성파크드림이라 생각한다.
* 2023년 동구의 입주물량이 많은데 그중에서도 신암 뉴타운 입주물량이 많은 편이다.
서구는 평리 뉴타운, 동구는 신암 뉴타운이 공교롭게 입주시기가 겹치고 물량이 많은데,
입주시기에 매매, 전세가 모두 하락하는 것은 어쩔 수 없어 보인다.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는 동네이므로 23년 입주장을 넘긴다면 새로운 모습과 인프라로
이전이 신고가를 갱신하는 날도 생각보다 빨리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다음번에는 하반기 입주 예정 물량을 살펴보겠다.
<2023년 하반기 입주 예정 물량>
- 해링턴플레이스동대구(1265세대, 23.7.) 신암동
- 동대구더센트로데시앙(860세대, 23.9.) 신암동 [전매 제한]
- 용계역푸르지오아츠베르1,2단지(1313세대, 23.10.) 용계동 [전매 제한] (240세대 미분양)
- 신기역극동스타클래스(142세대, 23.11.) 신기동 [전매 제한] (미분양)
- 동대구동화아이위시(144세대, 23.12.) 신천동
'대구 입주 아파트 시세(22년) > 동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동구 22년 입주 마피 아파트 총정리 (ft. 시세변동 및 하락금액) (1) | 2022.12.23 |
---|---|
대구 동구 마피 아파트 시세 확인[11월](ft. 23년 하반기 입주하는 아파트) (0) | 2022.11.30 |
대구 동구 마피 아파트 시세 확인[11월](ft. 23년 상반기 입주하는 아파트) (0) | 2022.11.30 |
대구 22년 입주 아파트 시세(동구) [10월] (0) | 2022.10.08 |
대구 동구 23년 입주 아파트 시세 [9월] - 2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