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 관련 이야기

국민주택채권 매입 보유 방법

서민갑부100억 2022. 10. 13. 07:13
반응형

어제 국민주택채권 매입 보유 후기를 올렸었는데,

매입해야 하는 금액은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여쭤보신 분이 계셔서 간단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법무사 사무실을 통해 등기하는 경우 소유권 보존용도와 저당권설정용(대출 시)이 얼마인지

알려달라고 하면 바로 알려주기 때문에 복잡하게 할 필요는 없지만,

할인율과 매입금액을 미리 알고 있으면 더 좋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1. 네이버에 "국민주택채권"이라고 검색

스크롤바를 조금만 내리면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가 나오는 게 이곳을 클릭합니다.

2. 제1종국민주택채권-매입대상금액조회 클릭

내가 매입해야 하는 금액을 알아보는 화면입니다.

내가 매수하는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알아 그에 맞는 비율만큼만 매입하면 됩니다.

3. 공동주택가격열람(노란색 형광펜으로 표시) 클릭

공동주택가격열람을 클릭하면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로 연결이 됩니다.

그곳에서 내가 매입하는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이 얼마인지를 확인합니다.

이 공시가격은 재산세와 종부세를 납부하는 기준이 되므로,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

4. 우측의 바로 가기 클릭(추가 공시 바로 가기를 누르니 안 나오는 단지가 일부 있음)

바로 가기 클릭 후 매수하는 부동산의 주소지와 동호수를 입력하여 정확한 공시가격을 확인

5. 다시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의 매입대상 금액 조회 화면에서 공시가격 입력

공시가격 입력 후 조회하면 채권 매입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고객부담금조회화면에서 채권매입금액을 입력해 줍니다.

그러면 내가 보유하지 않고 즉시 매도할 경우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나옵니다.

저의 경우 공시가격 4억3700만원짜리 아파트를 매수하며 매입해야 하는 국민주택채권은 1136만원이었고,

즉시 매도 시 부담금은 약 184만원이었습니다.

만일 대출을 받을 경우 대출금액의 110~120% 범위에서 채권을 추가로 매입해야 합니다.

요즘 할인율이 너무 높아 저의 경우 채권을 보유하기로 했습니다.

채권을 보유할 경우 5년간 목돈이 묶이게 되지만,

즉시 매도에 따른 비용을 절약하고 연 1%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보유를 선택했고 그에 따른 기회비용도 계산해 보았는데,

관련된 내용은 아래의 국민주택채권 보유 후기를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해서 보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채권 취급하는 5개 은행에 방문해야 합니다

[국민주택채권 직접 매입한 이야기(ft. 매입, 보유시 몇%의 예금과 같은지 계산)]

https://wwa1212.tistory.com/69

 

국민주택채권 매입 보유 후기

며칠 전 잔금 예정인 아파트 등기를 위해 대출을 실행 은행과 연계된 법무사 사무실에서 연락이 왔다. ​ 요즘 채권 할인율이 장난이 아니라 한번 보유해 볼까 생각을 했었다.(고민할 때보다 지

wwa1212.tistory.com

 

반응형